같은 단어라도 말투 하나로 온도가 확 달라지는 표현들이 있죠?
오늘의 표현 “have at it”도 바로 그런 말이에요.
이 짧은 한마디가 상황에 따라
😊 “마음껏 해봐!”
혹은
😒 “그래, 니 맘대로 해라.”
로 들릴 수 있답니다.
영어에서도 ‘톤’이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주는 좋은 예죠.
지금부터 have at it이 가진 두 얼굴, 따뜻한 격려 버전과 싸늘한 체념 버전으로 나누어 볼게요.
1️⃣ 따뜻한 말투로: “마음껏 해”, “어서 해!”
“have at it”의 본래 의미는 “~에 달려들다, 공격하다”인데, 지금은 일상 회화에서 “해봐”, “마음껏 해”라는 허락·격려 표현으로 자주 써요.
이때는 밝은 톤과 함께 쓰여야 자연스럽습니다. 즉, 따뜻하게 웃으며 말할 때 “go ahead”처럼 들리는 버전이죠.
✅ 예문 1
A: “Here’s the last slice of cake.”
B: “Oh really? Well, have at it.”
👉 “여기 마지막 케이크 조각이야.” / “그래? 그럼 얼른 먹어~.”
🍰 상황: 상대에게 기꺼이 권하는 느낌.
말투가 부드럽기 때문에 “help yourself”로 바꿔도 어색하지 않아요.
✅ 예문 2
A: “Mind if I try your new game?”
B: “Sure, have at it!”
👉 “새 게임 좀 해봐도 돼?” / “물론이지, 한번 해봐!”
🎮 “허락 + 응원”의 결합형.
“Go ahead”로 바꿔도 자연스럽습니다.
✅ 예문 3
A: “You think I’m too impulsive to lead this project, don’t you?”
B: “I did, but I’m willing to give you a head start. Have at it.”
👉 “넌 내가 이 프로젝트를 맡기엔 너무 즉흥적이라고 생각하는 거지, 그렇지?” / “그랬었지. 하지만 너 먼저 시작하게 해주려고. 한 번 해봐.”
⚙️ 격려 속에 약간의 시험이 섞인 뉘앙스.
“do your best”와 달리 결과보다 ‘기회를 주는’ 허락에 가까워요.
2️⃣ 싸늘한 말투로: “그래, 니 맘대로 해라.” ☃️
같은 말이라도 톤이 차가워지면 전혀 다른 의미가 됩니다. 이때의 have at it은 “그래, 해보든가.” “그렇게 해라.”처럼 이미 결과를 예상하거나 포기한 말투예요.
✅ 예문 1
A “I’m going to try fixing it myself.”
B “Suit yourself. Have at it.”
👉 “나 그냥 내가 고쳐볼래.” / “그래, 맘대로 해. 잘해보시지.”
“말려봤자 소용없다”는 체념이 섞여 있어요.
이럴 땐 “suit yourself”가 거의 동의어로 쓰입니다.
✅ 예문 2
A: “I’m gonna quit my job and start a band.”
B: “...Wow. Okay, have at it.”
👉 “나 직장 그만두고 밴드 만들 거야.” / “…와우. 그래, 해보든가.”
놀람 + 체념의 조합.
“good luck with that”처럼 비꼬는 톤이 될 수도 있어요.
✅ 예문 3
A: “I know it’s just a band-aid solution, but I’m going with it.”
B: “Fine, have at it. Don’t come crying to me when it falls apart.”
👉 “임시방편인 건 알지만, 이걸로 갈 거야.” / “좋아, 니 맘대로 해. 나중에 망했다고 나한테 와서 울지나 마.”
❄️ 냉소 + 경고형.
이런 경우 “have at it”은 거의 ‘spiteful go ahead’에 가깝습니다.
🔄 비슷한 표현 비교
| 표현 | 기본 의미 | 온도감 | 사용 예시 |
|---|---|---|---|
| go ahead | 행동을 허락함 | 중립~긍정 | “Can I sit here?” → “Sure, go ahead.” |
| help yourself | 음식·물건을 마음껏 쓰게 허락 | 따뜻함 | “Want some cookies?” → “Help yourself!” |
| suit yourself | 의견을 무시하며 체념 | 차가움 | “Do whatever you want.” → “Suit yourself.” |
| have at it | 허락 or 체념 (말투 따라 달라짐) | 따뜻~차가움 모두 가능 | “Have at it.” = “해봐” or “맘대로 해라” |
☕ 정리하자면
💬 “Have at it” = ‘해봐’라는 말의 두 얼굴
- 따뜻하면 → “마음껏 해봐!”
- 싸늘하면 → “그래, 니 맘대로 해라.”
이 표현의 묘미는 톤이에요.
긍정적일 땐 “permission + encouragement”,
부정적일 땐 “permission + resignation” (허락 + 체념)
이 섞여 있죠.
✏️ 한마디로, “have at it”은 말투가 90%를 결정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