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st’는 영어에서 너무 기본 단어라서 “그냥 과거지 뭐” 하고 넘기기 쉽지만, 막상 문장 속에서 마주치면 “이건 무슨 뜻이지?” 하고 멈칫하게 될 때가 많아요.
사실 past는 단순히 ‘과거’를 뜻하는 게 아니라, ‘무언가를 지나간 상태’를 표현하는 단어예요. 이 개념 하나만 잡으면, 여러 품사로 바뀌는 past의 다양한 용법이 단숨에 정리됩니다.
핵심 개념: past = 지나간 / 넘은 상태
🔹 시간적으로 ‘지나간’,
🔹 위치적으로 ‘지나쳐 간’,
🔹 감정적으로 ‘극복하고 지나간’.
이 기본 이미지를 떠올리면, 문장에서 어떤 품사로 쓰이든 자연스럽게 의미가 연결돼요.
① 전치사 (preposition) — “~을 지나서 / ~을 넘어서”
뒤에는 명사가 옵니다.
공간, 시간, 감정 등 ‘지나쳐 가는 대상’을 표현하죠.
📘 예문
-
He ran past the bakery, still hoping to make it to the appointment on time.
그는 약속 시간에 여전히 맞출수 있다고 희망하며, 빵집을 지나 뛰었어요. She walked past the foreigner without a word, wary of saying the wrong thing.
그녀는 말실수할까 봐 조심스러워하며, 외국인 곁을 말없이 지나쳤다.
-
It’s already ten past six.
벌써 6시 10분이에요.
→ (ten past six = 6시 10분) -
She looked right past me.
그녀는 나를 못 본 척하고 지나쳤어요. -
He got past the first interview.
그는 1차 면접을 통과했어요.
📍get + past는 많은 사람들이 헷갈려 하는 표현이에요.
여기서 past는 전치사이고, 뒤에 오는 것은 ‘넘어서야 하는 대상’입니다.
즉, get past = ~을 통과하다 / 극복하다 / 지나가다 라는 의미예요.
(참고: past는 동사로 쓰이지 않아요. ‘pass’의 과거형은 passed예요.)
💬 상황별 예시로 살펴보기
-
“Let me get past (you).”
“지나가게 해줄래요?”
→ 좁은 공간에서 누군가를 지나가고 싶을 때 자연스럽게 쓰는 표현이에요. -
“I can’t get past this.”
“이건 도저히 못 넘기겠어.”
→ 감정적으로 아직 정리되지 않은 상태를 말해요. -
“I got past it.”
“그 일은 이제 다 극복했어.”
→ 감정적 회복이나 상황 정리를 표현할 때.
💡 정리:
전치사 past는 항상 무언가를 “넘어서” 가는 이미지예요.
시간, 장소, 감정, 시험, 장벽 등 어떤 ‘경계’를 넘을 때 쓰입니다.
② 형용사 (adjective) — “지나간, 과거의”
사람, 사건, 시간 등을 수식하며 ‘이미 지나가 버린 것’이라는 느낌을 줍니다.
📘 예문
-
We’re living in a post-pandemic world, not the past one.
우리는 팬데믹 이후의 세상에 살고 있어요 — 지나가버린 세상이 아니라요. -
Let’s not dwell on past mistakes.
과거의 실수에 집착하지 말자. -
I’ve moved on from my past life.
나는 예전 삶에서 벗어났어.
💡 정리:
형용사 past는 “이미 지나가서 더 이상 현재에 속하지 않는” 것을 묘사할 때 사용돼요.
기억, 감정, 실수, 경험 같은 단어와 특히 자주 어울려요.
③ 부사 (adverb) — “지나쳐서 / 옆을 지나”
행동이 어떤 식으로 이루어졌는지를 나타낼 때, 즉 ‘어떻게 이동했는가’를 설명합니다.
📘 예문
-
She walked past without saying a word.
그녀는 아무 말 없이 지나갔어요. -
The cyclist sped past, determined to stay on schedule.
자전거를 탄 사람이 일정을 지키려는 의지로 쌩 하고 지나갔어요.
💡 정리:
부사 past는 동작의 진행 방향에 초점을 두며, 목적어가 필요 없어요.
④ 명사 (noun) — “과거”
명사로는 거의 항상 the past 형태로 쓰입니다.
회상, 비교, 또는 교훈의 문맥에서 자주 등장하죠.
📘 예문
-
The past can teach us important lessons.
과거는 우리에게 중요한 교훈을 줘요. -
Don’t let the past define you.
과거가 너를 규정하게 두지 마.
💡 정리:
명사일 때는 ‘시간’의 개념으로만 쓰이며, 보통 the past처럼 한정된 형태로 사용돼요.
자주 쓰이는 표현 💬
1️⃣ run A past B
→ A를 B에게 보여주거나, 상의하거나, 의견을 구하다.
📘 예문
-
Let me run this idea past my manager first.
이 아이디어를 먼저 매니저한테 한 번 상의해볼게요. -
Could you run that past me again?
그거 다시 한 번 설명해줄래요?
→ 복잡한 설명을 놓쳤을 때 자연스럽게 쓰는 회화 표현이에요.
2️⃣ get past something/someone
→ 어떤 문제나 감정, 혹은 물리적 장애를 ‘넘어서다, 극복하다’.
📘 예문
-
She couldn’t get past the betrayal.
그녀는 그 배신을 극복하지 못했어요. -
She finally got past her fear of public speaking.
그녀는 드디어 사람들 앞에서 말하는 두려움을 극복했어요. -
Excuse me, can I get past?
실례합니다, 좀 지나가도 될까요? -
He squeezed past the crowd.
그는 군중 사이를 비집고 지나갔어요.
📚 정리
| 품사 | 기본 의미 | 예문 |
|---|---|---|
| 전치사 | ~을 지나서 / 넘어서 | I walked past the store. |
| 부사 | 지나서 (목적어 없음) | He ran past. |
| 형용사 | 지난, 과거의 | past mistakes |
| 명사 | 과거 | learn from the past |
| 숙어 | get past = 극복하다 | I can’t get past the loss. |
💭 마무리
‘past’는 모든 문맥에서 “지나간” 상태라는 공통된 감각을 가지고 있어요.
이 이미지를 머릿속에 두면, 문장 속 past가 어떤 품사로 쓰였든 직관적으로 해석할 수 있게 됩니다.
👉 오늘부터는 past를 보면, “과거” 대신 “지나갔구나 / 넘었구나” 하는 그림으로 떠올려보세요.
그 순간부터 해석이 훨씬 자연스러워질 거예요. 🌿
▶️ 이 글에 함께 등장한 표현들 보기 → reservation vs. appointment wa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