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dulge’ — 단순히 “즐기다”라는 뜻으로만 쓰시나요?

강아지가 신나게 비싸보이는 신발을 뜯고 있고, 집사는 소파에 기대 포기한듯 무심한 표정으로 바라보며 'Sometimes you just... indulge'라고 생각하는듯한 모습. - 영어 단어 indulge를 표현한 장면

indulge는 그냥 “즐기다, 누리다” 정도로 알고 넘어갈 단어는 아니에요, 알면 알수록 활용도가 높아지는 그런 단어죠. indulge는 문장에서 자동사, 타동사로 모두 쓰이고, 어떤 때는 in과 함께 쓰이기도 하고, 어떤 때는 혼자 쓰이기도 해요.

게다가 단순한 즐거움(enjoyment) 이상의 뉘앙스를 가지고 있어요, “절제 없이 원하는 걸 마음껏 하다 / 하고 싶은 대로 하게 두다”가 중심 의미죠. 그래서 긍정적인 맥락에서 쓰일 수도 있고, 조금 자기 방종적이거나, 상대가 원하는 대로 다 하게 둬서 버릇이 나빠지는 뉘앙스로도 쓰입니다.

이 글에서는 indulge의 뜻, 문법 구조, 실용적인 예문까지 전부 한번에 정리해드릴게요.


🍰 핵심 의미: “하고 싶은 대로 하도록 두다, 절제 없이 욕구를 채우다”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이거 하나예요:

indulge = 어떤 욕구를 절제하지 않고 채우다
(자기 욕구일 수도, 남의 욕구일 수도 있음)

✔︎ 예문

She indulges in chocolate every night.
→ 그녀는 매일 밤 초콜릿을 마음껏 먹어요. (살짝 guilty pleasure 느낌)

Parents shouldn’t always indulge their children.
→ 부모가 아이들 원하는 걸 항상 다 들어주면 안 되죠. (버릇 나빠지는 뉘앙스)


자동사 vs. 타동사

1️⃣ 자동사: indulge in + 명사 (가장 기본 형태)

“~에 푹 빠져 즐기다 / 몰두하다”라는 의미예요.

  • He indulged in daydreaming.
    → 그는 공상에 빠져들었다.

  • She indulges in luxury.
    → 그녀는 사치를 즐긴다.

  • He indulged in nostalgic thoughts.
    → 그는 추억에 잠겼다.

➡ ‘in + 대상’을 넣으면 그 안으로 빠져드는 느낌이 잘 살아나요.


2️⃣ 자동사(전치사 없음): indulge 단독 사용

이건 문맥상 무엇을 indulge하는지 이미 알 때 가능해요.
보통 회화에서 “나 그런 거 안 해 / 안 빠져들어” 같은 톤으로 자주 쓰여요.

✔︎ 예문

“Come on, live a little!” — “No thanks, I don’t indulge.”
→ “좀 즐겨봐!” / “아니, 난 그런 거 안 해.”
(쾌락적인 행동에 자신은 빠지지 않는다는 의미)

🎬 아래는 어느 영화에 나온 대사에요. 

A: "I found the cure for aging." (노화에 대한 치유약을 찾았어.)
B: (시큰둥하게) "I'm not indulging." (별 감흥없어. / 난 그런 말에 휘둘리지 않아.)
"I'm not indulging (in this hype / fantasy / conversation) 처럼 뒤에 내용이 생략된 거에요. 감정적으로 빠져들거나 흥분해서 반응하지 않겠다는 거죠.


3️⃣ 타동사: indulge + (사람/욕구)

‘–을 즐기다’가 아니라
그 사람의 욕구나 기분을 들어주다 / 하고 싶어 하는 것을 허락하다는 의미예요. 따라서 구체적인 사물(초콜릿 등)을 직접 목적어로는 거의 안 씀.

✔︎ 예문

She indulged her son’s every whim.
→ 그녀는 아들의 모든 변덕을 다 들어줬다.

Sometimes, you just want to indulge yourself.
→ 가끔은 자기 자신에게 원하는 걸 해주고 싶잖아요.

He indulged his passion for jazz.
→ 그는 재즈에 대한 열정을 마음껏 즐겼다.

She indulged her curiosity about ancient history.
→ 그녀는 고대 역사에 대한 호기심을 실컷 채웠다.

💬 위 대문 이미지에서 집사의 마음을 들여다본다면, 이렇게 말할 것 같네요:
"The dog was happily destroying my shoe beyond repair. I just sighed from the couch and said, 'Well… sometimes you just indulge (the dog's mischief.)
→ “강아지가 내 신발을 신나게 물어뜯고 이미 돌이킬 수 없게 된 걸 보고, 나는 소파에 누운 채 한숨을 쉬며 이렇게 말했다. ‘에휴… 가끔은 그냥 그러게 두는 거지.’”


🚫 자주 틀리는 예:

She indulged chocolate.
이건 틀린 문장! → 초콜릿은 욕구가 아니라 물건이기 때문.

✅ 고치면 이렇게
  • She indulged in chocolate.
  • She indulged her sweet tooth with chocolate. (sweet tooth = 단것을 좋아함)

💡 함께 알아두면 좋은 관련표현: Indulge me…

✔︎ Indulge me for a second.

→ “잠깐만 내 말 좀 들어봐요.”
(부탁 · 양해 구하기 표현)

이 표현은 거의 ‘고정된 관용표현’처럼 따로 외워두는 게 좋아요. 실제 회화에서 자주 쓰이고, 문맥에서도 대부분 ‘내 말 좀 들어봐’, ‘조금만 이해하고 들어줘’라는 뜻으로 통째로 사용되거든요. 

👉 좀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시다면, Indulge me — '내 말좀 들어줘' 공손하고 세련된 표현 글을 참고해주세요.


🔍 핵심 구조 한눈에 정리 

구문 의미 예문
indulge in + 명사 ~을 마음껏 즐기다 / 빠져들다 She indulges in wine and drama shows.
indulge someone ~의 욕구를 들어주다 He indulges his daughter all the time.
indulge oneself 자기 자신을 마음껏 즐기게 하다 I indulged myself with a spa day.
indulge a desire / passion 어떤 욕구나 열정을 충족시키다 I indulged my craving for chocolate cake.
don’t indulge (부정문) 어떤 유혹에 빠지지 않다 I don’t indulge. (= 난 그런 거 안 해)

정리하며

indulge는, 단순히 “즐기다”라기보다는, 욕구·감정·하고 싶은 일에 브레이크를 걸지 않는 느낌이 핵심이에요.

  • 나 자신이 빠져들 때
  • 남의 욕구를 들어줄 때
  • 유혹·과한 행동을 자제하는 맥락에서
등 다양한 상황에서 실제로 많이 쓰이는 단어라, 한 번 정확히 익혀두면 실전에서 진짜 유용하게 쓰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