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t up with" 의미와 쓰임: 감정 근육이 필요한 영어 표현

따뜻한 미소를 짓고 있는 집사가 고양이를 안고 발톱을 깎이고 있다. 고양이는 불만 가득한 표정이다 - 영어 표현 put up with 의 의미를 표현한 장면

살다 보면 쉽게 넘기기 어려운 상황이 종종 생기죠. 마음에 안 드는 행동, 반복되는 불편함, 사람 때문에 지치는 순간들 등… 이런 ‘싫지만 어쩔 수 없이 참아 넘겨야 하는 상황’을 영어로 표현할 때 가장 대표적으로 쓰는 표현이 바로 put up with입니다. 

참다’, ‘견디다’, ‘받아주다’ 같은 뜻으로, 좋아하진 않지만 억지로 견디는 상황에서 자주 등장하죠. 말하자면, 감정의 근육을 써야 하는 순간들에 딱 어울리는 표현이에요.

이 글에서는 이 표현이 실제로 어떤 맥락에서 자연스럽게 사용되는지, 핵심 의미와 뉘앙스, 자주 나오는 조합, 그리고 다른 비슷한 표현과의 차이까지 깔끔하게 정리해볼게요.


Put up with의 기본 의미

put up with + 명사(사람/상황/행동)
원하지 않지만 참고 받아들이다, 억지로 견디다라는 뜻입니다.

핵심은 긍정적인 수용이 아니라 ‘마음엔 들지 않지만 그냥 넘긴다’는 뉘앙스예요.

예문

  • I can't put up with this traffic anymore.
    (이 교통 체증, 이제 정말 못 참겠다.)

  • She puts up with her noisy neighbors.
    (그녀는 시끄러운 이웃들을 그냥 참고 지낸다.)

  • How do you put up with his attitude every day?
    (그 사람 태도를 매일 어떻게 참고 지내는 거야?)

이 표현은 ‘잠깐 참고 넘기는 것’부터 ‘오랫동안 감정 소모하며 버티는 것’까지 폭이 넓지만, 공통점은 주어가 감정적으로 피로감을 느낀다는 점입니다.


💦 자주 쓰이는 상황들

1) 직장

직장은 가장 흔한 '참아야 하는' 공간이죠.

  • We have to put up with endless meetings every Monday.
    (매주 월요일마다 끝도 없는 회의를 참아야 한다.)

  • I put up with my boss's micromanaging because I need the job.
    (일이 필요해서 상사의 과한 간섭을 그냥 견딘다.)

감정 표현을 직설적으로 하지 못하는 직장 문화에서 아주 자주 등장합니다.

2) 가족·연인·친구 관계

가까운 사이일수록 작은 습관도 스트레스로 쌓일 수 있어요.

  • I love my sister, but it's hard to put up with her messiness.
    (내 동생을 사랑하긴 하지만, 너무 지저분해서 참기 힘들어.)

  • She keeps putting up with his excuses, but everyone knows she's exhausted.
    (그녀는 그의 변명을 계속 받아주지만, 지친 건 모두가 안다.)

  • My ex-husband drank a gallon of whiskey a day. He said he needed it to put up with me.
    (내 전 남편은 하루에 위스키를 갤런씩 마셨어. 나를 견디려면 그게 필요하다고 하더라고.)

감정적 의미가 강해서 관계 상황 묘사에 자주 쓰입니다.

3) 일상 속 사소하지만 스트레스 주는 요소들

  • Do we really have to put up with this weather every winter?
    (매 겨울 이런 날씨를 진짜 견뎌야 하는 거야?)

  • I can’t put up with the noise from this café anymore.
    (이 카페 소음, 더는 못 참겠다.)

현실적이고 공감되는 상황에서 자연스럽게 쓰입니다.

4) 대화 속 자연스러운 예문

A: Your roommate is super messy. How do you deal with that?
(룸메 완전 지저분하던데 그거 어떻게 살아?)
B: I don’t. I just put up with it… for now.
(못 살아. 그냥 참는 거지… 일단은.)

A: Are you still working with that rude supervisor?
(그 무례한 상사랑 아직 일해?)
B: Yeah. I put up with him because quitting isn’t an option yet.
(응. 당장 그만둘 순 없으니까 참고 지내.)

대화에서는 이렇게 ‘어쩔 수 없음’을 나타낼 때 아주 자연스럽습니다.


🔗 Put up with와 자주 함께 쓰이는 조합 (Collocations)

일상에서 이 표현이 특히 자주 따라다니는 단어들이 있어요. ‘무엇을 참는지’를 나타내는 명사들이죠. 아래 조합들을 보면 어떤 맥락에서 많이 쓰이는 표현인지 바로 보일 거예요.
  • put up with + noise / noise complaints / loud neighbors

  • put up with + behavior / attitude / temper / rudeness

  • put up with + stress / pressure / discomfort

  • put up with + someone’s excuses / bad habits / messiness

  • put up with + traffic / delays / weather


🔎 비슷한 표현들과 비교

같아 보이지만 맥락과 감정 정도가 조금씩 달라요.

표현 기본 의미 뉘앙스
put up with 싫지만 참아 넘기다 감정 소모 + 소극적 수용
tolerate 용인하다, 허용하다 격식 있고 감정 배제, 규칙·기준 적용할 때 자주 사용
endure 견디다, 인내하다 고통·어려움을 오래 참는 ‘무게감’이 큼
deal with 처리하다 감정보다 문제 해결 초점
stand / can’t stand 견디다/못 참다 일상적, 감정 섞인 짜증 표현

예로 비교해보기

  • I can’t stand his chewing sounds.
    (그 사람 씹는 소리 정말 못 참겠어.)
    → 감정 직설, 즉각적인 짜증

  • I tolerate no lateness in my class.
    (내 수업에서는 지각을 절대 허용하지 않는다.)
    → 감정을 배제한 규칙·원칙

  • She endured months of recovery after the accident.
    (사고 후 회복 기간을 몇 달 동안 견뎠다.)
    → 고통·인내 중심

  • I had to deal with three customer complaints before lunch.
    (점심 전에 고객 불만을 세 건이나 처리했어.)
    → 처리 중심, 감정 표현은 적음

  • I put up with his bad habits because it’s not worth arguing.
    (싸울 가치가 없어서 그의 습관들을 그냥 참는다.)
    → 마음속 불편함 유지 + 소극적 인내


📌 문법적으로 알아둘 점

  • 항상 with와 함께 쓰여야 합니다.
    put up만 쓰면 전혀 다른 의미(임시 거처 제공하기, 세우다 등)가 되기 때문이에요.

  • 뒤에는 명사(사람/상황/행동)가 와야 합니다.
    · put up with him
    · put up with the noise
    · put up with bad habits

  • 동명사도 명사처럼 사용 가능
    · put up with being interrupted
    · put up with waiting for hours


🎯 마무리: 우리는 매일 ‘put up with’하고 산다

직장에서, 가족과의 관계에서, 일상의 사소한 순간들에서 우리는 끊임없이 무언가를 참아 넘기며 살아갑니다. 그래서 put up with는 실제 대화에서 매우 자주 등장하는 실용 표현이에요.

앞으로 누군가의 행동을 ‘오늘은 그냥 넘어가야지…’ 하고 생각하는 순간이 오면, 속으로 이렇게 말해보세요.

“Alright… I’ll put up with it. For now.”

그러면 영어 표현도, 감정 근육도 조금씩 더 단단해질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