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ow vs. know of — 개인적으로 아는 사이가 아니라면 of 붙이셔야 해요

티비 화면 속 유명인과 소파에 앉은 사람이 악수하는 장면, 'know vs. know of' 텍스트와 함께

“나 그 사람 알아.”
영어로는 보통 “I know him.” 이라고 하죠.
그런데, 정말 그렇게 말해도 될까요?

사실 “I know him.”“I know of him.” 은 미묘하지만 중요한 차이가 있어요. 한국말로는 둘 다 “안다”가 되지만, 듣는 사람 입장에서는 완전히 다른 의미로 받아들여집니다. 심지어 실제로 모르는 사람인데 아는 사람이라고 말한걸로 들릴 수도 있어요.

직접 알고 있는 건지, 아니면 그냥 이름만 들어본 건지 — 그 관계의 깊이가 바로 knowknow of 를 가르는 기준이에요.


1️⃣ know — 직접 알고 있다 (face-to-face 관계)

👉 개인적인 관계나 실제 만남이 있었던 사람에게 사용

예문
🔹 I know Sarah. We used to work together.
(나 사라 알아. 예전에 같이 일했었어.)

🔹 I know him from college.
(대학교 때 알던 친구야.)

🔹 I know your brother — he’s always so cheerful.
(너희 남동생 알아, 항상 밝더라.)

💡 know직접 만나본 적이 있고 서로 인사할 수 있는 사이를 의미해요.
즉, “아, 그 사람 알아”가 아니라 “그 사람 내가 아는 사람이야”의 뉘앙스죠.


2️⃣ know of — 존재만 알고 있다 (간접적인 인연)

👉 이름을 들어봤거나, 다른 사람을 통해 들은 정도일 때

예문
🔹 I know of him. He's pretty famous in our industry.
(그 사람 알아. 우리 업계에서는 꽤 유명하잖아.)

🔹I don't know her personally, but I know of her.
(직접 아는 건 아니지만, 이름은 들어봤어.)

🔹 I know of that professor — he’s written some groundbreaking papers.
(그 교수님 알아요. 혁신적인 논문 몇 편 쓰셨죠.)

💡 know of는 “존재는 알고 있지만, 개인적인 관계는 없다”는 점이 핵심이에요. 그래서 “I know him.”이라고 하면 틀린 정보인거죠. 예를 들어 연예인이나 유명인에 대해 “I know him.”이라고 하면, “그 사람을 실제로 알아?” 하는 반응이 돌아올 수도 있어요. 소문, 이야기, 뉴스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아는 사람을 말해요.


🧩 실제 대화에서 차이

상황: 친구가 파티에 데려갈 사람을 언급할 때

A: Do you know James?
B: Yeah, I know him. We worked together last year.

→ (직접 아는 사이 — 작년에 같이 일함)

A: Do you know James?
B: I know of him. Isn’t he the guy who opened a new bakery downtown?

→ (직접은 몰라도 이름이나 업적은 들어본 사이)

💡 여기서 know 대신 know of 를 쓰면
“그 사람 이름은 알아, 하지만 개인적인 관계는 없어”라며 들어본 적은 있지만 친분은 없다는걸 말하는게되죠.


💬 예문 더보기

A: Do you know Dr. Miles? He’s really meticulous with his research.
B: I know of him — his papers are impressive, but we’ve never met in person.

마일즈 박사 알아? 연구에 엄청 꼼꼼하시더라. / 이름은 들어봤어. 논문은 인상적이던데, 직접 뵌 적은 없어.

A: You know Olivia, right? She used to work here.
B: Yeah, I know her. You can always count on her to get things done.

Olivia 알지? 예전에 여기서 일했잖아. / 응, 알아. 그 사람은 맡은 일은 꼭 끝내는 믿을 만한 사람이야.

A: Do you know Ethan?
B: Not personally — I just know of him. In hindsight, I wish I’d introduced myself at that conference.

Ethan 알아? / 개인적으로는 몰라. 그냥 이름만 알아. 돌이켜보면 그때 학회에서 인사라도 해볼 걸 그랬네.


🪄 비슷한 논리: hear vs. hear of

이 구분은 hear / hear of 에도 그대로 적용돼요.

표현의미예시
hear직접 듣다I heard a strange noise last night. (어젯밤 이상한 소리를 들었어.)
hear of존재를 알게 되다Have you ever heard of that band? (그 밴드 들어본 적 있어?)

💡 “hear”는 귀로 직접 듣는 것,
“hear of”는 소문이나 정보로 간접적으로 아는 것이에요.


📚 정리하자면

  • I know him → 직접 아는 사람 (만남, 경험, 인연 있음)
  • I know of him → 존재만 알고 있음 (간접적 정보)
  • hear / hear of 도 같은 원리

▶️ 이 글에 함께 등장한 표현들 보기 → meticulous count on hinds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