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군가 “오늘 저녁에 같이 밥 먹을래?” 또는 “주말에 같이 나갈래?”라고 제안했는데, 속으로는 이런 생각이 들 때 있죠.
“아… 귀찮다. 그냥 집에 있고 싶어.”
그렇다고 바로 “I don’t want to go.”라고 말하면 너무 직설적이죠.
사회생활을 하다 보면, 정중하면서도 부담 없는 거절 표현이 꼭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때 딱 좋은 말이 바로 이거예요.
💬 “I have a prior commitment.”
👉 “그 시간에 이미 선약이 있어요.”📌 이 표현이 좋은 이유
이 문장은 단순히 “싫다”거나 “못 간다”는 말을 부드럽게 포장해주는 표현이에요. 이전부터 정해진 약속이 있어서 어쩔 수 없다는 느낌을 주기 때문에, 상대가 기분 나쁘게 받아들일 일이 거의 없습니다.
✔️ 무례하지 않음
✔️ 변명처럼 들리지 않음
✔️ 이유를 구체적으로 말하지 않아도 됨
✔️ 자연스럽고 사회적으로 매너 있는 표현
즉, 실제로는 그냥 쉬고 싶을 때라도 이 한 문장으로 상황을 부드럽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 단어 풀이로 이해하기
- prior: 이전의, 앞선
- commitment: 약속, 일정, 헌신
그래서 a prior commitment는
이미 정해져 있는 약속, 먼저 잡혀 있던 일정
을 뜻합니다.
이 표현은 회사 이메일, 일상 대화, 친구 사이 등 공식·비공식 상황 모두에서 무난하게 쓸 수 있어요.
💡 실용 예문
-
I’d love to come, but I have a prior commitment.
👉 정말 가고 싶지만, 이미 다른 약속이 있어요.
(가장 기본적이고 공손한 거절 문장) -
Sorry, I can’t make it tonight. I have a prior commitment with my family.
👉 미안, 오늘은 가족이랑 이미 약속이 있어서 어려울 것 같아. -
Could we reschedule? I have a prior commitment that evening.
👉 그날 저녁엔 선약이 있어서 일정 조정 가능할까? -
I’m afraid I won’t be able to attend the meeting. I have a prior commitment at that time.
👉 유감이지만, 그 시간엔 다른 일정이 있어서 회의에 참석하기 어려워요. -
I told him I couldn’t join because I had a prior commitment, but he didn’t buy it.
👉 내가 선약이 있어서 못 간다고 했는데, 그사람은 안 믿더라. A: Are you coming to the company dinner tonight?
B: I’d love to, but I have a prior commitment.
A: Oh, that’s a bummer. We were counting on you to give the toast!
👉 오늘 회사 회식 올거지? / 가고 싶긴 한데, 선약이 있어. / 아, 아쉽다. 건배사 네가 해주길 기대하고 있었는데!
🙋 이런 상황에서 유용해요
| 상황 | 이렇게 말해보세요 |
|---|---|
| 회식이 부담스러울 때 | “I’d love to join, but I have a prior commitment.” |
| 소개팅 피하고 싶을 때 | “That sounds nice, but I have a prior commitment that evening.” |
| 주말에 친구 약속 거절할 때 | “This weekend’s tough — I already have a prior commitment.” |
| 스터디 / 모임 빠질 때 | “Sorry, I won’t be able to make it today — I already have a prior commitment.” |
🔄 비슷한 표현 정리
| 표현 | 의미 | 예문 | 해석 |
|---|---|---|---|
| I already have plans. | 이미 약속이 있어요 (가장 일반적) | I’d love to, but I already have plans. | 가고 싶지만 이미 약속이 있어요. |
| I have something scheduled. | 일정이 있어요 | Let’s find another time — I have something scheduled that day. | 그날은 일정이 있어서 다른 시간에 하자. |
| I’m tied up that day. | 그날은 바빠요 | I’m tied up all day Friday. | 금요일은 하루 종일 바빠요. |
| I’ve made other arrangements. | 다른 계획이 있어요 | Sorry, I’ve made other arrangements for that weekend. | 미안, 그 주말엔 다른 계획이 잡혀 있어요. |
이 중 “I have a prior commitment”은 가장 격식 있고 부드러운 어조로 들리는 표현이에요. 비즈니스 자리나 공식 초대 거절 시 특히 자연스럽습니다.
✨ 정리하며
“I have a prior commitment.”
이 한 문장만 알아도
✔️ 회사 회식
✔️ 친구 모임
✔️ 소개팅
✔️ 스터디
어떤 자리에서도 예의 바르게 거절할 수 있습니다.
너무 직접적으로 “싫어요”라고 말하지 않아도, 이 표현 하나면 충분히 매너 있는 인상을 남길 수 있어요.
💭 Tip:
영어권 문화에서는 “직접적인 거절”보다 이렇게 “상황 때문에 어쩔 수 없다”는 식으로 표현하는 게 훨씬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집니다. 그래서 이 문장은 단순히 회피용이 아니라, 사회적인 배려를 담은 표현으로 이해할 수 있어요.
✨ 이 글에 함께 등장하는 표현들 보기 → I don't buy it bummer count 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