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don't buy it - 안 산다고? 아니, 못 믿겠다고. | 'buy'의 진짜 의미 정리

고양이가 강아지에게 개뼈다귀 모양의 쿠션을 선물로 건네고 있다. 강아지는 의심스러운 듯 'I don't buy it'이라고 반응한다: 영어 'buy'의 '믿다'의미를 보여주는 장면

영어에서 buy 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뜻은 단연 ‘사다’입니다. 하지만 일상 대화나 드라마에서 자주 듣는 “I don’t buy it.”을 그대로 “난 그거 안 사”라고 해석하면 문맥이 이상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왜냐하면 buy에는 ‘사다’ 말고도 ‘믿다, 받아들이다’라는 의미가 있기 때문이에요.
오늘은 이 두 가지 뜻을 중심으로, 자주 쓰이는 확장 표현까지 예문과 함께 정리해 드릴게요.


1. 💰 기본 의미: 돈을 주고 ‘사다’

가장 직관적인 뜻은 물건이나 서비스를 돈을 주고 사다이죠.

  • I bought a new phone yesterday.
    → 나 어제 새 핸드폰 샀어.

  • I bought a ticket to the concert, and the best part is, it was 50% off.
    → 콘서트 티켓을 샀는데, 제일 만족스러운게 그걸 반값으로 샀다는 거야.

이런 건 아주 쉽죠. 하지만 여기서 잠깐!💡 

영어에서 buy는 단순히 ‘물건’을 살 때만 쓰이지 않아요. 시간(time), 기회(chance), 신뢰(trust), 영향력(influence) 같은 추상적인 것도 ‘살 수’ 있죠. 즉, ‘사다’라는 개념이 “무언가를 확보하거나 얻다”라는 쪽으로 확장된 거죠.

  • We need to buy more time.
    → 시간을 좀 더 벌어야 해.

  • The new strategy bought us a few more months.
    → 새 전략 덕분에 몇 달 더 시간을 확보했어.

  • He bought his way into the club.
    → 그는 돈을 써서 클럽에 들어갔다.
    (실력 대신 돈이나 권력을 이용해 기회를 얻었다는 부정적 뉘앙스)


2. ⚓믿다, 수긍하다: I buy it / I don’t buy it

이제 많이 들어본 표현, “I don’t buy it.”
직역하면 “안 사요”가 되지만, 실제 의미는 “난 못 믿겠어, 납득이 안 돼”입니다.

즉, 누군가의 말·주장·핑계가 진실성·논리성·설득력이 부족할 때 쓰는 표현이에요.

  • I don’t buy his excuse at all. He said he was stuck in traffic, but I know for a fact the roads were clear.
    → 난 걔 변명을 전혀 못 믿겠어. 교통 체증 때문이라는데, 사실 도로가 뻥 뚫려 있었다는 걸 확실히 알고 있거든.

  • The investors didn’t buy our proposal.
    → 투자자들이 우리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 He bought her fake tears.
    → 그는 그녀의 가짜 눈물을 믿어버렸다. (속았다, 낚였다 느낌)

  • So you’re telling me you just ran into your ex three times last week? Sorry, I don’t buy it.
    → 전 남친을 우연히 세 번이나 마주쳤다고? 미안, 난 못 믿겠어.

  • He said his rude comment was just a joke and I was too sensitive. I don’t buy it — his tone was sharp, and it was clearly meant to offend.
    → 자기는 농담이었고 내가 예민한 거라는데, 난 못 믿겠어. 목소리 톤이 날카로웠고, 명백히 기분 상하게 하려던 말이었거든.

👉 정리하면, “I don’t buy it.”은 단순 불신이 아니라 “네 말, 논리적으로 말이 안 돼 / 난 그 진심을 못 믿겠어”라는 느낌을 전달합니다.


📌 확장 표현: buy into something

비슷하지만 조금 다르죠. buy into ~는 단순히 순간 속은 게 아니라, 어떤 아이디어·철학·주장에 설득되어 진심으로 믿고 따르는 것을 뜻합니다.

  • I never really bought into the whole ‘you need a 9-to-5 job to be successful’ idea.
    → 난 ‘성공하려면 9 to 5 정규직이 필수다’라는 생각을 원래 믿지 않았어.

  • She bought into the company’s vision.
    → 그녀는 회사의 비전에 공감했다. (진심으로 동의하고 따르기로 결정한 상태)

  • At first, I didn’t buy into the idea of remote work. But in hindsight, it actually helped me manage my time better.
    → 처음엔 재택근무라는 개념 자체가 잘 안 와닿았는데, 하지만 돌이켜보니, 오히려 시간을 더 잘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됐어.

  • He talks like he’s some visionary, but I don’t buy into his plan at all.
    → 그는 무슨 선구자라도 되는 것처럼 말하지만, 난 그의 계획에 전혀 동의 못 해.

👉 여기서 핵심은, buy into는 단순히 “믿는다”를 넘어 “내면적으로 받아들여서 그 생각에 동조한다”라는 의미라는 점입니다.


🎯 정리: buy의 두 가지 큰 축

의미 대표 표현 해석 및 뉘앙스
사다, 확보하다 I bought a ticket. 기본적 ‘구매’
That excuse bought me some time. 시간을 ‘벌다’
He bought his way into the club. 돈·권력으로 기회를 얻음 (부정적)
믿다, 받아들이다 I don’t buy it. 못 믿겠다, 속지 않겠다
You really bought that story? 그 말에 속았어?
They bought into →the idea. 그 생각을 내면적으로 수용했다

📝 마무리

영어에서 buy는 단순히 지갑 열고 뭔가 사는 것에 그치지 않습니다. “시간을 사다, 기회를 사다, 누군가의 말을 사다(=믿다)”처럼 훨씬 폭넓게 쓰여요.

특히 “I don’t buy it.”은 짧지만 강력하게 불신을 드러낼 수 있는 표현이라, 회화 속에서 자주 활용됩니다. 비슷하게 “I’m not buying it.”이라고 해도 뉘앙스는 똑같아요.

앞으로 누군가의 말이 수상쩍게 들릴 때, 자연스럽게 “I don’t buy it.”이라고 말해보세요. 짧지만 날카로운 회화 표현 하나로, 영어 대화의 깊이가 달라질 거예요.


▶️ 이 글에 함께 등장한 표현들 보기 → I know for a fact hindsight man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