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뉴스, 영화, 비즈니스 미팅까지 — “at stake”는 정말 자주 들리는 표현이에요.
무언가가 거기에 ‘걸려 있다’, 즉 결과에 따라 성공과 실패, 생존, 평판, 돈 같은 중요한 것이 달라지는 상황을 말하죠.
이번 글에서는 “at stake”의 정확한 뜻과 배경, 그리고 왜 이런 의미로 쓰이게 됐는지까지, 기억에 오래 남도록 하나씩 정리해볼게요.
🪙 'At stake' 뜻: 성공, 실패, 평판이 걸려 있는 상황
at stake는 간단히 말해,
“무언가가 걸려 있다”, “위태로운 상태다”, “결과에 따라 운명이 달라질 수 있다”
는 뜻이에요.
예를 들어, 어떤 게임에서 이기면 상금을 받고, 지면 돈을 잃는다면, 그 게임에는 무언가가 걸려 있는 거죠 — 바로 그럴 때 at stake를 씁니다.
👀 'stake'의 원래 의미와 확장
원래 stake는 말뚝, 기둥을 뜻해요.
그런데 이 말이 도박과 연결되면서, 내기나 투자에서 걸어놓은 돈, 소유물, 이해관계를 의미하게 되었죠.
과거에는 실제로 말이나 가축을 말뚝(stake)에 묶어 놓고
“이겨서 저 말 가져가겠다!” 하는 식으로 내기를 하기도 했어요.
그래서 stake는 점점 다음과 같은 의미로 확장됐습니다.
👉 “내가 걸어둔 것”, “잃을 수도 있는 소중한 것”, “결과에 따라 달라지는 이해관계”
📌 그래서 "at stake"는?
“at stake”는 직역하면 말뚝에 걸려 있는 상태예요.
즉, 무언가가 위험에 처해 있거나 결과에 따라 운명이 바뀔 수 있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이 표현은
-
비즈니스 회의 같은 딱딱한 상황에서도,
-
영화나 뉴스, 일상 대화에서도
자주 쓰이는 범용적이면서도 긴장감 있는 표현이에요.
같은 “at stake”라도 문맥에 따라 이렇게 달라집니다:
- “위태롭다”
- “걸려 있다”
- “중요한 순간이다”
- “결정적인 국면이다”
🧾 예문으로 감각 익히기
💬 There’s a lot at stake in this decision.
이 결정에는 많은 것이 걸려 있어.
→ 회사의 방향, 사람들의 미래, 프로젝트 예산 등 중요한 게 이 결정 하나에 달려 있다는 뜻이에요.
💬 If we fail to deliver on time, our credibility will be at stake—and the client may not trust us again.
우리가 제시간에 납품하지 못하면 우리 신뢰가 흔들리고, 고객이 다시는 우리를 믿지 않을 수도 있어.
→ 비즈니스 신뢰 관계에서 “평판·신용이 걸려 있음”을 말하죠.
💬 Thousands of jobs are at stake because of the new policy.
새 정책 때문에 수천 개의 일자리가 걸려 있어.
→ 제도 변경이 단순 행정이 아니라 사람들의 생계에 직결된다는 뉘앙스예요.
💬 What’s at stake is our future, not just today’s profit.
걸려 있는 건 오늘의 이익이 아니라 우리의 미래야.
→ 눈앞의 이득보다 장기적 가치가 더 중요하다는 강조에 쓰이죠.
💬 You’re refusing to apologize even though our friendship is at stake? I didn’t see that coming.
우정이 걸린 문제인데 사과조차 안 하겠다고? 그건 정말 뜻밖인데.
→ “관계가 위태로운 상황”을 표현
💬 With so much money at stake, we can’t afford to be impulsive; let’s be more meticulous this time.
막대한 금액이 걸려 있는 만큼, 충동적인 결정은 피해야 합니다. 이번에는 좀 더 세심하게 진행합시다.
→ 위험이 큰 의사결정 상황에서 at stake의 “큰 리스크가 걸린” 느낌.
💬 Democracy itself is at stake.
민주주의 그 자체가 위태로운 상황이야.
→ 뉴스나 연설에서 자주 등장하는 문장으로, 사회적·역사적 위기감을 표현할 때 자주 쓰입니다.
💡 비슷한 상황에서의 다른 표현들
-
at risk: 단순히 “위험에 처한” (물리적·감정적 위험 모두 가능)
→ Our plan is at risk because of the delay. (지연 때문에 계획이 위험해.) -
on the line: 좀 더 긴장감 있게 “걸려 있다”
→ My job is on the line if this fails. (이게 실패하면 내 일자리도 위험해.) -
up for grabs: “누구에게나 기회가 열려 있다” (경쟁적 의미)
→ The position is up for grabs. (그 자리는 누구에게나 기회가 있어.)
이렇게 구분해두면 문맥에 따라 미묘한 뉘앙스를 더 정확히 잡을 수 있어요.
🪄 정리하자면
at stake는
“무언가가 걸려 있다 / 위험에 처해 있다 / 결과에 따라 운명이 바뀔 수 있다”
는 뜻이에요.
stake는 원래 ‘말뚝’에서 출발했지만,
도박과 투자 개념이 섞이면서 내기, 이해관계, 소유물로 확장되었어요.
그래서 at stake는 결국
“중요한 무언가가 내기판 위에 올려진 상태”
즉, 위태롭지만 동시에 중요한 결정의 순간을 나타내죠.
이제 뉴스에서
“Our reputation is at stake.”
또는
“Democracy is at stake.”
같은 표현이 나와도,
“아, 지금 진짜 중요한 게 걸려 있는 상황이구나” 하고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을 거예요.
▶️ 이 글에 함께 등장한 표현들 보기 → I didn't see that coming impulsive vs. compulsive meticulo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