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귀신 나올 것 같은 으스스함
- 기묘하게 조용해서 등골이 서늘한 느낌
- 사람 자체가 왠지 소름끼칠 때
이처럼 같은 ‘무서움’이라도 느낌이 다를 때, 적절한 단어를 쓰는 게 중요해요. 오늘은 그중에서도 spooky, eerie, creepy를 중심으로, 미묘한 뉘앙스를 비교해볼게요.
🌑 scary – 가장 기본적인 "무섭다"
- 가장 넓고 일반적인 표현
- 공포 영화, 큰 소리, 사고 등 모든 ‘무서운 상황’에 적용 가능
🔹 That movie was so scary. I couldn’t sleep after watching it.
그 영화 진짜 무서웠어. 보고 나서 잠도 못 잤잖아.
Tip:'scary'는 무서움의 종류를 구체적으로 나타내진 않아요. 다양한 뉘앙스를 표현하고 싶을 땐 아래 단어들이 더 적합합니다.
👻 spooky – 유령 나올 것 같은 으스스함
- ‘귀신이 나올 것 같은’ 장난기 섞인 무서움
- 할로윈 느낌, 약간 유쾌한 공포
🔹 We heard spooky sounds coming from the attic.
다락방에서 으스스한 소리가 들렸어.
🔹 The house looks spooky at night with all the lights off.
밤에 불 다 끄면, 그 집 귀신 나올 것처럼 보여.
🔹 I heard a spooky laugh from the garden last night, and I was like, “Come again? Who’s out there?.
어젯밤 정원에서 으스스한 웃음소리를 들었는데, 나는 ‘뭐라고? 거기 누구야?’ 막 이랬잖아.
포인트: 어린이 책, 할로윈 장식, 유령 이야기 등에서 흔히 등장. 공포지만 살짝 재미있거나 놀리는 톤에 딱 맞아요.
🧊 eerie – 기묘하고 조용한 불길함
- 설명하기 어려운 불길한 정적, 정체불명의 분위기
- 조용하지만 뭔가 잘못된 느낌
🔹 There was an eerie silence after the explosion.
폭발 후에 기묘할 정도로 정적이 흘렀다.
🔹 The abandoned building had an eerie atmosphere.
폐건물에서 기묘한 분위기가 느껴졌다.
🔹 The abandoned hospital had an eerie vibe. I know for a fact that no one has used it for decades.
그 버려진 병원은 기묘한 분위기가 있었어. 내가 확실히 아는 건, 수십 년 동안 아무도 사용하지 않았다는 거야.
포인트: 무서움 + 이상함 + 조용함이 섞인 느낌. 무서움의 이유가 명확하지 않죠. 뭔가 안좋은 일이 일어날 것 같고, 분위기 자체가 소름끼치는 거죠. 텅 빈 놀이공원에서 회전목마가 혼자 돌아가고 있는 걸 봤을 때, "It feels eerie."라고 말해요. 이런 느낌의 정확한 분위기를 묘사할 때 매우 효과적인 표현이에요.
🕷 creepy – 등골이 오싹한 불쾌함
- 사람, 행동, 물건 자체가 소름끼치거나 불쾌할 때
- 실제로 위해를 가하지 않지만 불안함과 거부감이 동반
🔹 That guy was staring at me. It was so creepy.
그 남자가 날 쳐다보는데 진짜 소름 끼쳤어.
🔹 I hate dolls. They’re so creepy when their eyes move.
난 인형 싫어. 눈이 움직이면 진짜 소름 돋아.
🔹 That guy keeps following me around the mall. It’s really creepy, and I wasn’t born yesterday—I know he’s up to something.
그 남자가 쇼핑몰에서 계속 따라다녀. 진짜 소름 돋아, 나 바보 아니거든—뭔가 꿍꿍이가 있는 것 같아.
포인트: 대상이 명확하고 직접적. 이상함 + 무서움이 합쳐진 느낌으로, ‘사람·행동·물건’과 연결될 때 강력.
세 단어 비교 요약
| 표현 | 의미 요약 | 자주 쓰이는 상황 | 예시 |
|---|---|---|---|
| spooky | 유령 나올 것 같은 으스스함 | 할로윈, 유령 이야기, 장난스러운 공포 | spooky sound, spooky house |
| eerie | 조용하고 기묘한 불길함 | 정적, 폐건물, 설명 불가 상황 | eerie silence, eerie feeling |
| creepy | 사람이나 행동이 소름끼치고 불쾌함 | 낯선 시선, 이상한 인형, 집착 | creepy guy, creepy smile |
🎯 비교예시
→ 와, 이 집 완전 으스스해. 할로윈 영화에 나올 것 같아.
→ 안이 이렇게 조용한 게 뭔가 기묘해. 뭔가 이상해.
🧩 마무리
무섭다고 다 같은 ‘scary’는 아니에요. 무서움의 종류를 구체적으로 표현하면 영어 표현력이 한층 풍부해집니다.
정리:
- spooky = 유령 분위기, 장난스러운 무서움
- eerie = 조용하고 기묘한 공포, 이유 없는 소름
- creepy = 대상이 있는 공포, 소름끼치고 불쾌함
다음에 무섭거나 소름 돋는 상황이 생기면, “이건 spooky? eerie? creepy?” 생각해보세요. 단어 하나만 바꿔도 감정과 분위기가 살아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