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에서도, 직장에서도 ‘임시방편’이란 말을 쓸 때가 있죠. 완벽한 해결책은 아니지만, 일단 당장의 상황을 수습하기 위한 임시 조치를 말할 때요.
이럴 때 단순히 “temporary fix”라고만 하기보다, 영어 원어민들이 실제로 자주 쓰는 두 표현 — stopgap과 band-aid solution — 을 알아두면 훨씬 자연스럽게 말할 수 있습니다.
두 단어 모두 ‘임시방편’을 뜻하지만, 느낌과 쓰임이 꽤 다릅니다. 하나씩 자세히 볼게요.
1️⃣ Stopgap — “급한 불을 끄는 현실적 대책”
📌 뜻
일시적인 해결책, 당장의 대체 수단
(근본적인 해결은 아니지만, 당장 필요한 부분을 채우는 임시 조치)
💬 핵심 뉘앙스
→ 실용적이고 중립적인 느낌이에요.“지금은 어쩔 수 없으니까, 일단 이렇게라도 해두자.”
꼭 나쁜 건 아니고, 오히려 현실적인 판단일 때가 많습니다.
🧩 예문으로 이해하기
-
We’re hiring freelancers as a stopgap until we find full-time staff.
정규직 직원을 구할 때까지 프리랜서를 임시로 쓰고 있어요. -
This old laptop is just a stopgap until I can afford a new one.
새 노트북 살 여유가 생길 때까진 이 오래된 걸로 버티는 중이야. We agreed to use a free tool as a stopgap, but the downside is that it doesn’t support multiple users.
정식 툴을 도입하기 전까진 무료 도구를 임시방편으로 쓰기로 했어요. 단점은 여러 사용자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거예요.Simply put, this plan is just a stopgap — it’ll buy us some time, but it won’t fix the core issue.
한마디로 말해서, 이 계획은 단지 임시방편일 뿐이에요. 시간을 벌 순 있지만,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진 못하죠.The company introduced a stopgap measure to deal with the budget shortfall.
예산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회사가 임시 조치를 도입했다.
💡 ‘stopgap measure’는 비즈니스 회의, 프로젝트 관리, 예산 관련 대화 등에서 자주 쓰이는 실용 표현입니다.
2️⃣ Band-aid Solution — “겉만 그럴싸한 미봉책”
📌 뜻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겉만 임시로 덮는 ‘눈가림식 조치’
💬 핵심 뉘앙스
→ 부정적인 느낌이 강합니다.
문제의 뿌리를 건드리지 않고,
표면만 덮어두는 태도를 비판할 때 쓰죠.
“이건 해결이 아니라, 그냥 덮어둔 거잖아.”
그럴 때 바로 band-aid solution이라고해요.
🧩 예문으로 이해하기
-
Giving tax breaks is just a band-aid solution to deeper economic issues.
세금 감면은 더 깊은 경제 문제에 대한 단순한 미봉책일 뿐이야. -
Increasing police presence is just a band-aid solution to the city’s crime problem.
경찰 인력을 늘리는 건 범죄 문제의 본질적인 해결책이 아니야. -
Patching the app every week is a band-aid solution — it needs a full redesign.
매주 앱을 패치하는 건 미봉책일 뿐이야. 전면 재설계가 필요해. They say the new policy will solve everything, but I don’t buy it — it’s just a band-aid solution.
그들은 새 정책이 모든 걸 해결할 거라고 하지만, 난 믿기 힘들어요. 그건 단지 미봉책일 뿐이에요.
💡 Band-Aid는 원래 미국 Johnson & Johnson의 반창고 상표명이지만, 너무 널리 쓰이다 보니 지금은 일반명사처럼 쓰여요. 그래서 band-aid solution은 “깊은 상처에 반창고 하나 붙인 정도”의 의미로, 겉만 가리는 얄팍한 조치를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거죠.
🆚 Stopgap vs. Band-aid solution
| 표현 | 공통점 | 뉘앙스 차이 | 자주 쓰이는 맥락 |
|---|---|---|---|
| Stopgap | 임시 해결책 | 중립적·실용적 | 예산, 인력, 장비 공백 등 |
| Band-aid solution | 임시 해결책 | 부정적·비판적 | 사회 문제, 정책, 구조적 문제 등 |
- Stopgap은 “당장 급해서 어쩔 수 없이” 쓰는 현실적 대책,
- Band-aid solution은 “그럴싸하게 덮어두는” 문제 회피형 대책입니다.
🔁 함께 알아두면 좋은 비슷한 표현들
① Quick fix
빠르고 간단한 해결책 — 하지만 지속 가능하지 않음
-
Rebooting the system is just a quick fix, not a real solution.
시스템 재부팅은 임시로만 통하는 해결책이지, 진짜 해결은 아니야.
② Temporary fix
임시로 막아둔 조치
-
This tape is just a temporary fix for the leaking pipe.
이 테이프는 물 새는 파이프를 잠시 막아둔 거야.
③ Makeshift
급히 만든 임시물 (공간이나 구조물에 자주 쓰임)
-
We built a makeshift shelter with blankets and sticks.
담요랑 나뭇가지로 급히 임시 대피소를 만들었어요.
✍️ 정리하자면
- Stopgap → 지금 당장 버티게 해주는 현실적 임시방편 (중립적)
- Band-aid solution → 근본을 덮어두는 미봉책 (부정적)
- Quick fix / Temporary fix / Makeshift → 상황에 따라 쓰기 좋은 대체 표현들
💬 예문으로 마무리
-
“일단 급한 대책 세우자.”
👉 We need a stopgap solution before the new system launches. -
“이건 그냥 미봉책이잖아.”
👉 That’s just a band-aid solution — it doesn’t solve the root cause.
이제 ‘임시방편’을 영어로 떠올릴 때, 단순히 temporary로 끝내지 말고, stopgap이 더 맞을지, band-aid solution이 더 적절할지를 한 번 생각해보세요. 언어는 뉘앙스의 예술이니까요.
▶️ 이 글에 함께 등장한 표현들 보기 → drawback, downside simply put I don't buy i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