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suppose vs. I think: 다를까요? suppose 3가지 쓰임 총정리!

집사가 룸바를 켜자 고양이는 놀이기구로 착각하고 신나 하는데, 강아지는 겁먹은 채 마지못해 ‘I suppose’라고 동의하는 장면.

“I suppose…”라는 표현, 한 번쯤 들어보셨을 거예요. 처음엔 그냥 I think랑 같은 뜻 아닌가? 싶지만, 영어 원어민들이 쓰는 뉘앙스를 자세히 보면 조금 다릅니다.

게다가 suppose는 단순히 “생각하다”만이 아니라 가정하다, ~하기로 되어 있다 같은 의미로도 많이 쓰여서 헷갈리기 쉬운 단어예요.

이번 글에서는 먼저 I supposeI think와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고, 이어서 suppose의 나머지 두 가지 주요 쓰임까지 총정리해드릴게요.


"I suppose"

I suppose는 직역하면 “나는 그렇게 가정해”이지만, 실제 대화에서는 보통 조심스러운 동의, 약한 추측, 말끝 흐리기 같은 맥락에서 쓰입니다.

👉 정리하자면, I suppose = I think보다 약하고 조심스러운 말투라고 보시면 됩니다.

자주 쓰이는 상황

약한 동의 / 완전 확신은 없을 때

  • I think we should cancel the trip.
  • Yeah… I suppose you’re right.
    (응… 네 말이 맞긴 하겠지.)
    → “확실히 동의한다”보다는 “네 말도 일리가 있네” 하는 수긍.

조건부 동의 / 망설임

  • I suppose we could try that idea, if nothing else works.
    (다른 방법이 없다면 그 아이디어를 시도해볼 수도 있겠네.)
    → 적극 찬성은 아니지만, 가능성을 열어두는 말투.

체념 / 어쩔 수 없음

  • I suppose I have no choice but to get this presentation over with today.
    (오늘 이 발표 그냥 빨리 끝내는 수밖에 없겠네.)
    → 상황을 받아들이며 쓰는 표현.

애매하거나 완곡한 의견 제시

  • I suppose he’s kind of charming… in his own way.
    (걔도 자기 나름대로는 매력이 있긴 하지.)
    → 분명히 긍정은 못 하지만, 돌려 말할 때.

애써 이해하려 할 때

  • She didn’t even text me back, but I suppose she had her reasons. In hindsight, I should’ve read between the lines.
    (그녀가 답장조차 안 했지만, 뭐 사정이 있었겠지. 돌이켜보면 내가 눈치 챘어야 했어.)


💬 네이티브가 자주 쓰는 짧은 패턴

  • I suppose so.
    → (글쎄... 그런 것 같기도 해)
    → 100% 동의라기보다는 “수긍은 하지만 약간 여운을 남기는” 느낌.

  • I suppose not.
    → (아닌 것 같아.)
    → I guess not보다 더 신중하게 부정할 때.


🆚 I suppose vs. I think: 뉘앙스 차이

두 표현 모두 “내 생각엔…”이라는 뜻이지만, 강도와 말하는 태도에서 차이가 납니다.

표현느낌뉘앙스
I think확신 있는 의견내 생각을 직접적이고 명확하게 전달
I suppose약간 양보 / 조심스러운 동의완전히 단정하지 않고, 망설임·양보가 섞임

🔹 같은 문장 비교

  • I think she’s upset.
    (걔 화난 거 같아. → 확신 있음)

  • I suppose she’s upset.
    (걔 화난 거 같기도 해. → 애매하게 추측)


I suppose vs. I guess vs. I assume 🆚

헷갈리기 쉬운 비슷한 표현들도 정리해볼게요.

표현의미예문
I think내 확실한 의견I think it's a bad idea. (그건 나쁜 생각이야.)
I suppose약한 동의 / 애매한 수긍I suppose you're right. (네 말이 맞긴 해.)
I guess가볍게 추측, 깊은 고민 XI guess he's not coming. (걔 안 올 것 같아.)
I assume근거 없는 추정, 당연히 여기다I assumed you'd know. (네가 알 줄 알았어.)
👉 즉, I suppose말의 강도를 약하게 만들어서 상대방 의견을 어느 정도 받아들이되, 여지를 남길 때 딱 맞는 표현이에요.

suppose의 다른 쓰임

I suppose 외에도, 'suppose'에는 중요한 쓰임이 두 가지 더 있습니다.

1️⃣ 가정하기 (Suppose + 절)

상황을 가정할 때 자주 쓰여요.

  • Suppose you were offered the job — would you take it?
    (그 일을 제안받았다고 치자. 할거야?)

  • Let's suppose it rains tomorrow.
    (내일 비 온다고 가정해보자.)


2️⃣ be supposed to ~ (해야 한다 / ~하기로 되어 있다)

아주 흔히 쓰이는 표현으로, 의무, 기대, 계획 등을 나타냅니다.

  • This app is supposed to help you study.
    (이 앱은 공부에 도움이 되도록 만들어졌어.)

  • You were supposed to present today, but I suppose something came up. Still, that's a bummer for the team.
    (오늘 네가 발표하기로 돼 있었는데, 뭔가 일이 생겼던 거겠지. 그래도 팀 입장에선 아쉽다)


📌 마무리 정리

  • I suppose = 조심스럽게 의견을 던질 때
  • I think = 확신 있는 의견
  • I guess = 가볍게 추측
  • I assume = 근거 없이 당연히 여김

그리고 suppose의 주요 쓰임은 세 가지:

  1. 회화에서 조심스러운 의견 표현 (I suppose)
  2. 가정 (Suppose ~)
  3. 기대/의무 (be supposed to)

앞으로 “I suppose…”라는 말을 들으면, 단순히 “내 생각엔” 정도로 퉁치지 말고, 얼마나 조심스럽게 말하는지까지 캐치해 보세요.


▶️ 이 글에 함께 등장한 표현들 보기 → get over vs. get over with hindsight read between the lines still that's a bumm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