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에서 foreign이라고 하면 대부분 떠올리는 뜻은 ‘외국의’, ‘외국인’이죠.
-
예: foreign language (외국어), foreign student (유학생), foreigner (외국인)
많은 사람들이 이 단어를 처음 배울 때 이 의미로만 외우지만, 실제 영어 회화에서는 전혀 다른 뜻으로도 아주 자주 쓰입니다. 오늘은 그 실용적인 의미와 사용법, 비슷한 표현들과의 뉘앙스 차이까지 꼼꼼히 정리해드릴게요.
1️⃣ 낯설거나 익숙하지 않은 것: foreign to ~
foreign은 단순히 지리적 의미를 넘어서 “내게 낯설다, 익숙하지 않다, 내가 속하지 않은 것”이라는 느낌을 줄 때 많이 쓰입니다. 특히 개념, 경험, 사고방식 등 추상적인 대상에 자주 사용돼요.
'foreign to me'라고 하면, 나 개인의 경험·습관·성향이 기준이 되어, 내 삶에서 접해보지 못했거나, 내 사고방식·취향과 달라서 익숙하지 않은것을 말합니다. "이건 나한테 새로운데...?", "내겐 어색해"라는 뉘앙스죠.
-
That concept is foreign to me.
→ 그 개념은 나한테 낯설어. -
Math has always felt foreign to me.
→ 수학은 항상 나랑 안 친했어 / 익숙하지 않았어. -
Honking your car horn just to say hi is foreign to me.
→ 경적을 울려서 인사하는 건 나한테 좀 낯선 행동이야.
💡 핵심: foreign + to + 대상 구조로, 누구에게/무엇에 낯선지 명확히 해야 자연스럽습니다.
2️⃣ 상황이나 문화와 어울리지 않는 것
foreign to ~는 “~와 어울리지 않는다, 맞지 않는다”는 의미로도 쓰입니다.
여기서 "foreign to ~"라고 하면, 기준이 어떤 집단·환경·상황의 규범이에요. "여기랑은 안 어울려", "그 문화/환경에선 부자연스어워"라는 뉘앙스죠.
-
His aggressive attitude was foreign to the team’s culture.
→ 그의 공격적인 태도는 팀 분위기와는 안 맞았어. -
Showing emotion in public felt foreign to her.
→ 공공장소에서 감정을 드러내는 건 그녀에겐 어울리지 않는 일이었어.
💡 팁: 꼭 to me만 쓰는 게 아니라, 대상/문화/상황을 다양하게 넣을 수 있습니다.
✅ 문장 구조 공식
foreign + to + 사람/문화/개념/기준
항상 이 구조로 쓰면서, 누구에게 혹은 어떤 기준에 비해 낯선지를 명확하게 말해줘야해요. 누군가에게 낯선 것, 어떤 시스템이나 문화에 이질적인 것을 강조할 때 사용돼는 표현이거든요.
That level of luxury is foreign to me.
→ 그런 수준의 사치는 나에겐 너무 낯선 일이야.The idea of tacit understanding was foreign to him. He needed everything spelled out explicitly.
→ 말하지 않아도 통하는 이해라는 개념은 그에게 낯설었다. 그는 모든 걸 정확히 말로 설명받아야 했다.Trusting someone without questioning their motives? That’s completely foreign to me.
→ 누군가를 의심 없이 믿는다고? 그건 나한테 정말 낯선 일이야.
Living a low profile life was foreign to him, especially after years of being in the spotlight.
→ 오랜 시간 주목받으며 살아온 그에게 조용한 삶은 너무 낯설었다.Publicly condemning someone without proof feels foreign to me. I’d rather give them the benefit of the doubt.
→ 근거 없이 누군가를 공개적으로 비난하는 건 나한테 낯설어. 차라리 그 사람에게 일단은 믿음을 주는 편이야.This kind of meticulous planning is foreign to him—he usually just wants to get it over with.
→ 이런 꼼꼼한 계획은 그에게 낯선 거야. 그는 보통 그냥 빨리 끝내버리고 싶어 하거든.
This technology is completely foreign to our current system.
→ 이 기술은 우리 현재 시스템과는 전혀 어울리지 않아.
Shaking it off and moving on is foreign to me; I tend to dwell on things longer than I should.
→ 쉽게 털어내고 넘어가는 건 나한테 낯설어. 나는 보통 필요 이상으로 오래 곱씹는 편이야.
Fair enough, but this kind of catchy slogan feels foreign to our brand. We’ve always kept things very simple.
→ 알겠어. 하지만 이런 캐치한 슬로건은 우리 브랜드에는 낯설게 느껴져. 우리는 항상 아주 단순하게 해왔으니까.This kind of calm, laid-back vibe is totally foreign to me. I’m used to chaos and deadlines.
→ 이런 차분하고 여유로운 분위기는 나한텐 정말 낯설어. 나는 늘 혼돈과 마감 속에서 살아왔으니까.
비슷한 표현과 비교
| 표현 | 의미 | 차이점 | 예시 |
|---|---|---|---|
| foreign | 낯설거나 익숙하지 않음 (문화·개념적) | 중립적, 추상적 | The food was foreign to me, but I liked it. (음식이 생소했지만 괜찮았어) |
| strange | 이상하거나 비정상적으로 느껴짐 | 감정적 불편함, 의아함 | The food was strange to me, so I couldn’t eat much. (음식이 이상해서 많이 못먹었어) |
| unfamiliar | 잘 모르는 상태, 익숙하지 않음 | 구체적 대상에 자주 사용 | The name sounds unfamiliar. (이름이 낯설게 들리네) |
| alien | 매우 이질적이고 때로 적대적 | 거리감과 소외감 강조 | The whole environment felt alien and cold. (그 환경 전체가 낯설고 차가웠어) |
| out of place | 주변과 어울리지 않음 | 시각적·상황적 부조화 | He looked out of place in a suit at the beach. (해변에서 정장이라니 안어울려보였어) |
| new to me | 나에게 처음인 것 | 경험 부족 강조 | This is all new to me. (이건 나한텐 다 처음이지) |
실전 회화에서 자주 쓰이는 구조 💬
| 표현 | 의미 | 예시 |
|---|---|---|
| foreign to me | 나에게 익숙하지 않다 | All this tech talk is foreign to me. |
| feel foreign | 낯설게 느껴지다 | That kind of behavior feels foreign. |
| sound foreign | (귀에) 낯설게 들리다 | Her name sounds foreign to me. |
마무리 정리
- foreign = 외국의로만 이해하면 부족
- 일상 영어에서는 낯설다, 익숙하지 않다, 내게 안 맞다라는 의미로 자주 등장
- 비슷한 표현들과 비교해 뉘앙스를 구분하면 더 정확하고 자연스럽게 활용 가능
이제 이렇게 말할 수 있어요:
“That word isn’t so foreign to me anymore.”
→ 이 단어, 이제 나에게 그렇게 낯설지 않다.
▶️ 이 글에 함께 등장한 표현들 보기 → condemn vs. condone give the benefit of the doubt meticulous get over vs. get over with shake it off fair enough catchy
